수정편집본입니다
태초에 김수로왕 설화와
어라 글씨가 안보이네
둘째 이름이 덕선.....왜그랬을까 했는데
황제의 짝이 되기 위한 이름이였음
이름을 바꿔봤자 이 둘은 이루어질수 밖에 없었음
택과 덕선 = 왕과 왕비
덕선이는 왕후니까 황금 잉어를 상징한답니다
"나의 왕비가 되어주시오" 라는 뜻임
극중에 덕선이와 택이가 보던 영화제목은
<마지막 황제>였으며,
어린 덕선이가 건낸 황금잉어- 최택의 금거북이는
황금거북이로 프로포즈하며
덕선은, 노랑의 상징이 아닌
끝까지 읽어보셈
그 후 김수로가 가야에 자리잡고
허황후=성동일
허황옥=덕선
왕 된 택이가 그 집 딸내미 데려다가 왕비삼음
허황후는 곧바로 허황옥을
이때부터 16세 소녀의 대항해가 시작된다.
#TV 택이의 우승소식
"이사람아 죽어서 무슨소용인가 살아서 효도해야지"
# 이때 갑자기 전구 나가고,
설화3)"가락국 김수로왕의 왕비 허황옥은
4) 잉어엿
덕선이 이사온 택에게 내민것은' 황금잉어'
왕(최택)이 매일 같이 앉아 정사를 논하는 자리 = 용상
먹을것, 입을것, 잠자리, 짐.
택이와 연관된 사람 중에
택이를 하나라도 챙기지 않는 사람이 1도 없다
최택은 왕이기 때문에 하나부터 열까지
무성이 당시 피던 담배는
봉황이 청자를 감싸고 있는 모양의 디자인으로 유명
민자언니를 잃은 무레기도 저렇게 폐인이 되어 있었고
택이도 덕선이가 없으면 죽을지도 모른다는 말을 함.
어느 한 쪽이 없으면 완전하지 못함. (구겨진 담배곽)
선영의 제안이였음.
ohoh 쌍문동으로 짝을 찾아가는 봉황레기 ohoh
같은 9화 중국에서 신으로 불리고 있는 최택6단과
도롱뇽과의 대화 중에 덕선이가 그 섬띵스페셜을 강조하며 말을 함.
근데 그 강조한 물건을 김수로왕 매점 주인 김수로가 가져가게 됨.
수학여행지에 뜬금없이 등장한 매점이 "김수로매점"
아니 신라(경주)에 가야(김수로왕)이 왜나와ㅋㅋ
신라 천년고도 경주에서
금관가야의 시조 김수로왕 매점이라니ㅋㅋ
초딩도 아는 역사를 작감이 몰랐다는건 말이 안되지
'김유신 유스호스텔'은 김유신 유스호스텔이면서
왜 매점은 신라의 문무왕 매점, 신문왕 매점이 아니고
하필 가야의 김수로왕 매점인 걸까?
최택은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 출신이고
현재 발굴중인 금관가야 왕궁이 있고,
각종 금관가야 문화 유적지가 있는 동네임.
굳이 김해 아니라도 창원, 마산 ,부산 많은데
왜 김해 봉황동에서 와서
쌍문동에서 봉황당을 열고
봉황당골목이라고 소개 하도록 한걸까.
하지만 그시각,
존재하지 않는 것 같으나
최택 수학여행 안간거 아님 ㅋㅋ
덕선=허황후설에 더욱 힘을 실어줌
엄마아빠,노을이 보는 가운데
덕선이가 춤을추며 짐을 바리바리 싸는데
등려군-첨밀밀 가사
봄바람에 피어난 한 송이 꽃 같아요.
봄바람에 피어난 꽃 말이에요
어디선가 어디서인가 당신을 본 것 같아요.
당신의 미소가 왜 이렇게 낯익을까
갑자기 기억나지 않아요
아아... 꿈속이었어요
꿈속에서 꿈에서 당신을 보았어요
달콤한 그 미소
바로 당신이군요. 당신이었어요
꿈속에서 본 건 바로 당신이었어요
어디선가, 어디선가 당신을 만났던 것 같아요
당신의 미소는 이렇게 낯익은데
갑자기 생각나지 않아요
아아... 꿈속이었어요
부부간의 화합, 윤택함,
안정적인 가정생활, 금슬 등
부부간 수복을 빌때 쓰임
시발 소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예뻐~"
"진짜?"
"응! 옷도예쁘구"
중국 소품이 아니라
왕후가 배타고 올 때 가져온 거고
모두 김수로왕 신화와 관련된 소품이였음
= 최택과 성덕선의 신혼...하앙
중국을 비롯 동양의 왕가를 상징하는 색이라면
보라색은 서양의 왕가에서 많이 사용하던 색상이고
신라 골품제에서도 성골(왕족)의 색은 보라색임
선우가 왕비에 해당하고 보라가 왕인,
집안을 이끌 책임을 행한 뒤에 따라온 것이고
그래서 존중받는것조차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부모님께 마냥 이쁜 애정보다는 믿음을 받는 장녀
자신의 일은 나누지 않는 큰 딸
내면의 고뇌마저 가지고 있는 캐릭터 ' 성보라 '
왕인 택이와 한가족이되어
아들 중 첫째가 김해김씨 성
둘째가 허황후 성 이어 받아서
'동본'이였음
가족이랑 얽혀서 결혼에 난항이 생긴것도
선보라랑 겹침
그 자식들이 동성동본이라 결혼 못 한걸
드라마에 끌고 와서 가족으로 만들어버림;
1. 선우방 잉어모양 장식
왕손 수태한 왕비가 태교할때 잉어를 고아서 먹었다함.
잉어빵 그렇게 많이 찾고 먹었던 선우엄마 선영도 왕비.
덕선, 선우, 선영
이3명은 다 왕비될 팔자였음
:왕을 상징하는 인물들
1. 택이와 무성은 김해시 봉황동 출신
5. 무성은 봉황당이라고 불림. 봉황=왕을 상징
6. 택과 보라는 유사성을 보임
7. 정봉이는 택과 보라를 특별하게 대함
8. 보라색은 서양에서 고귀한 색이자 왕가를 의미함
9. 초반 인물소개에서 덕선은 보라를
10. 택과 덕선이 함께본 영화는 마지막 황제.
:왕후를 상징하는 인물들
1. 모두 '선'이 들어감 = 왕후의 시호에 가장 많이 쓰이는 한자
4. 김수로왕의 왕후 허왕옥의 상징은 쌍어문(잉어)
5. 어린시절 첫만남 덕선이 택이에게 건내준건
6. 선우방 문에 잉어장식
7. 중국에서 덕선이 바꿔준 택이방에는
8. 선영은 붕어빵을 좋아하고
9. 19화에서 선우는 잉어빵을 사왔다고 언급
10.선우네 집에는 빈 어항이 존재함
봉황동 = 금관가야 = 가야국
결론: 김수로왕 시놉은 응답하라1988 극전체를 관통하는 뼈대
내 끝사랑은 '가족'입니다.
물론, 드라마로 시청자들 공부시킬 생각으로
그냥 우리드라마는 찾아보면,
심심하면 한번 찾아보세요
딱 이정도가 작감이 시청자들에게
과잉 감정이입해서 보지않고
감독취향이 이 정도로 변태인데 뭘 어떡하겠어